2010년 5월 2일 일요일

써니킴_Rollling fog














써니킴
Rolling Fog






현실인듯, 현실이지 않은 듯

기억처럼 안개가 쌓인 뿌연 풍경 속

뒷모습만을 보이는 그들의 모습을 보면

얼굴도 아득하다.

마냥 즐겁다고 표현 못할 기억들,

약간의 공포감과 아련함이 있는 듯 하다.


전시글
유치원부터 초등학교 중학교까지 교복을 입던 세대에 속한 작가는 미국으로 이민간 후 겪은 십대시절의 모호함과 불안정성을 강렬하게 표현한 작업으로 알려지기 시작했습니다. 2006년 미술관 전시 이후 4년 만에 준비한 이번 써니킴의 개인전 Rolling Fog는 그동안의 시간만큼 작가의 심적. 기법적 변화를 포착해볼 수 있는 소중한 자리가 될 것입니다.

써니킴의 작업은 존재하지 않는 기억에 대한 향수를 붙잡으려는 불가능한 시도를 전제로 하고 있습니다. 완전한 현실이 될 수 없는 대체물이자 가짜의 시공간인 회화 속 이미지에 여러 겹의 물감 레이어를 덧바르며 몽상적이고 아련한 분위기를 만들어냅니다. 마치 무중력의 공간감이나 공기와 같이, 실체감이 없다는 특성을 가진 가상의 기억은 보는 이에게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등 감정이입 효과를 주며 회화 안에서 완전한 리얼리티를 얻고 있습니다.

5월, 써니킴의 Rolling Fog전이 안내하는 가상의 기억 속에서 색다른 심리적 경험에 들어서는 즐거움을 기대해보시기 바랍니다.




전시장소: 16bungee http://www.galleryhyundai.com/kor/?SiteNum=3

전시일시: 2010. 4. 22 - 5. 12

이광호_Touch

이광호
Touch


섬세하지만 이야기하는 그림들.

익숙한 것을 낯설게 보기.

그냥 강하다고 보기엔 한편으로는 아름다운 식물들.













전시장소: 국제갤러리 www.kukjegalley.com

전시기간: 2010.4.15~2010.5.16

전화 : 02-735-8449

윤명숙의 바다

유난히 깊어보였던 바다 사진.

하늘 위에서 비추는 햇빛은 더욱 소중하고 간절하게 느껴진다.








사진 이미지 : http://blog.naver.com/noongamgo/100104188120

전시기간 : 2010.4.23~2010.5.9
전시장소 : 류가헌 http://www.ryugaheon.com/contents/contact.php
서울시 종로구 통의동 7-10
전화 02-720-2010
로저 딘(roger dean) 회고전



유명 락 그룹의 커버 아티스트 '로저딘'
예스(yes), 유라이어 힙(Uriah Heep)과 같은 전설적 밴드들의 커버를 장식했던 그의 오리지널 작품들과 록, 레이블 작업들을 볼 수 있다.


asia dragon


freyja's castle


dragons dream


blue dessert


asia ppyramid



'테트리스' 게임 디자인을 로저 딘이 디자인했다는 사실을 오늘에야 알았다.

70~80년대에 작업했다는 것을 믿을 수 없을 정도로,

강렬한 색채와 구성, 캐릭터들이 환상적이다.

다른 블로그에서는 아바타의 배경들을 로저 딘의 작품들에서 차용했다는 말이 나돌 정도다.

로저 딘 홈페이지 : http://www.rogerdean.com/


-----------------------------------------------------------------------------------

TIP: 대림미술관에서 온라인으로 회원가입을 하시면, 어른 5000원의 관람료를 2000원으로 할인해준답니다.




장소: 대림미술관 http://www.daelimmuseum.org/index.jsp

일시: 2010.3.25(목)~2010.6.6(일)

시간: 오전 10시~ 오후 6시 (매주 월요일 휴관)

2009년 7월 26일 일요일

장 뒤뷔페 '우를루프의 정원'

"제가 봤을 때

그림의 쓰임새를 흔히들 기대하는 바와는

다른 차원에서 생각해 볼 수 있을 것 같아요.

각자의 집에다 둘 수 있고, 오래도록 바라볼 수 있고,

영원히 볼 수 있는 그림이 되는 거죠.

바다를 바라보는 것처럼, 혹은 타오르는 불을 보듯이요.



나는 내가 전문가가 아닌 애호가일 뿐이라고 생각해요.

계속 그러길 바래요.

내가 원하는 건 단지, 하고싶을 때 아무런 구속없이

자신의 즐거움을 위해 고기를 낚는 낚시꾼이 되는 겁니다.



내가 그림을 그리는 건 오직 그림에서 찾은 즐거움 때문이죠.

내 그림은 전적으로 나 자신을 위한 것입니다.



그림을 그릴 때면

그제야 무언가를 보기 시작했단 생각이 듭니다.

전혀 새로운 빛 속에서 이들을 보는 것 같고,

안 보이던 게 보이는 것 같지요.

신기한 마술 안경이라도 쓴 것같은 기분입니다.



집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내 두 눈은 아무것도 못 보죠.

그림이 내 눈이 되는 겁니다.

시골길에서 돌멩이 하나를 봐도,

뭘 본건지도 모르겠고, 뭘 아는 건지도 모르겠어요.

내가 '아 그게 돌멩이었구나'라는 생각을 하게 되는 건

집에와서 그림을 그리려고 한 때입니다.



그리고... (집과 나무와 밭이 있는 한가로운 전원풍경을 보며)

저런 풍경에는 전혀 관심이 없습니다.

뭐가 예쁜 건지도 모르겠고 오히려 제게 있어선

거슬려 보입니다. 그럴 이유는 없지만요.

사람들은 좋아하는 것도 그리고 싫어하는 것도 화폭에 담지요.

그러면서 내 안의 감정을 비워내는 겁니다.



미의 개념이란 없다고 봅니다.

아름답다는 건 착각이죠.

미추의 개념 모두가 없어요.

시대에 맞게 사느냐 아니냐는 전적으로 개인의 의지이죠.

미란 사회적 통념일 뿐입니다.

한가지 유효한 개념이 있다면 그건 매혹, 즉 홀리는 것이죠.

장담컨대,

그 어떤 사물이든

그 어떤 존재든

그 어떤 장소든

강한 애착의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사람을 빠져들게 만드는 거지요.

사람의 호기심을 유발하여 빠져들게 하는 겁니다.

바로 그때, 사람들은 그게 아름답다고 하는 거죠.

하지만 뭐든지 그 대상이 될 수 있다는 겁니다.



제 생각엔

예기치 못한 데서 미를 찾는게

예술가들의 역할이라고 생각해요.

그림은 눈에 호소하지 않습니다.

영혼에 대고 말하는 겁니다!"







- 장 뒤뷔페, 인터뷰 中









장 뒤뷔페의 전시가 끝나기 이틀전 부랴부랴 전시를 봤다.

저녁 6시가 넘어서도 전시를 보러 온 사람들이 꽤 많았다.



장 뒤뷔페, 참으로 재능이 다양해서 초년기에는 어느길로 가야할지 이리저리 헤메이다가

중년기가 되어서야 자신의 길을 찾고 죽을 때까지 미술가가 된 사내.

아카데믹한 화풍은 배우지 않고 다른 방법으로 그리겠다며 미술대학을 뛰쳐나왔지만,

그후로 아버지의 가업을 물려받아 42살까지 포도주 상인이 된 사내.

이 사람, 얼마나 많은 고민을 했을까. 42살, 미술가가 되길 결심하기까지.

그리고 죽을 때까지 혼신의 힘을 다해 그림을 그린다. 그동안 못그려 본것이 얼마나 많았던가. 그동안 얼마나 멋진 생각을 화폭에 담아보지 못했던가!

그래서 그런지 장 뒤뷔페의 그림들은 찡하고 통하는 면이 있다. 그걸 화가의 진실성이라고 했던가, 진실이 담겨 있는 그의 그림들은 이론으로 설명하려는 그 어떤 현대 회화보다 가슴으로 먼저 다가선다. 정말 장 뒤뷔페의 그림들은 영혼에 대고 말하는 듯 하다.

성석제 '번쩍하는 황홀한 순간' 中

< 그의 욕은 압축적이고 핵심을 지적하고 있다는 점에서 시에 가까웠고 (내가 어떻게 태어났는지, 내가 인간의 어떤 신체 기관과 닮았는지, 어떻게 그 기관을 볼 것인지, 장차 죽어지면 어떻게 될 것인지에 관해 상기시켜주었다)

가락과 후렴을 담고 있다는 점에서 노래가 될만하고 (내가 어떤 짐승으로부터 유전자를 물려받았는데 그 짐승도 대여섯 가지로 다양함을 보여주었다)

한마디 대꾸할 틈도 없이 퍼붓는다는 점에서 소나기처럼 시원했다 >


- 성석제 '번쩍하는 황홀한 순간'-

가수의 존재가 무엇이냐는 물음에 대해

"단순히 놀자판을 만드는 게 아니라 문화를 선도하는 사람, 달을 가리키는 여사제로서의 역할을 해야 해요"



- 이상은, 책<21세기를 바꾸는 교양> 中 -